728x90
반응형
SMALL

대한민국 양자기술 로드맵과 투자 전략: 정부 지원과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2025년 기준)
과학기술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 키워드, ‘양자기술’에 대한 국가적 대응과 시장 변화 분석
1. 왜 대한민국은 양자기술에 주목하는가?
2025년 현재, 전 세계가 ‘양자 패권’을 놓고 경쟁 중이다.
대한민국 역시 양자기술을 차세대 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국가 주도 로드맵 수립과 민간 스타트업 육성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양자기술은 기존 정보처리 한계를 뛰어넘는 양자컴퓨팅,
양자 얽힘 현상을 이용한 양자암호통신,
그리고 초정밀 센서 기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안, 국방, 금융, 에너지, 의료 등 주요 산업의 판도를 바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2. 대한민국 정부의 양자기술 로드맵 (2024~2035)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말 ‘양자과학기술 중장기 발전전략(2024~2035)’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다음과 같은 3대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2035년까지 글로벌 5위 양자기술 국가 도약
- 2025년까지 초기 양자컴퓨팅·암호통신 인프라 확보
- 2030년까지 1, 000큐빗급 양자컴퓨팅 핵심기술 개발
- 2035년까지 산업 실증 기반의 상용화 단계 진입
2-2. 투자 및 예산 계획
- 2025년 국가 예산 기준, 양자기술 R&D 예산은 약 2,300억 원 이상 편성
- 과기정통부 외에도 국방부, 산업부, 중기부 등 범부처 협력 체계 강화
- “양자기술 전주기 R&D 지원체계” 구축 (기초연구 – 응용 – 상용화)
2-3. 핵심 추진 분야
분야 | 세부 내용 |
양자컴퓨팅 | 큐비트 안정화, 양자칩 설계, 양자 알고리즘 개발 |
양자암호통신 | 양자키분배(QKD), 양자보안네트워크 구축 |
양자센서 | 위성기반 중력 센서, 국방용 정밀측정 장비 |
소프트웨어 | 양자 시뮬레이터, 개발 프레임워크 |
3. 주요 연구기관 및 추진 조직
양자기술원 설립 추진
- 2024년 발표된 ‘양자기술특화연구기관 설립 방안’에 따라, 국가 양자기술원 설립을 2027년까지 완료할 계획
- 서울, 대전, 대구 등 거점도시 유치 경쟁 중
KIST, ETRI, KAIST, POSTECH 주도 기관
- KIST 양자연구단: 양자 메모리, 큐비트 제어 실험 주도
- ETRI: 양자암호통신 실증망 구축 (세종-대전 간 시범 운영)
- KAIST·POSTECH: 양자 알고리즘 및 양자반도체 공정 연구 강화
4. 대한민국의 양자 관련 스타트업 현황
4-1. 퀀텀에이아이랩(QAI Labs)
- 양자 기계학습 알고리즘 개발
- 해외 클라우드 기반 양자컴퓨팅 API와 연동 가능한 플랫폼 제공
- 2024년 시리즈 A 투자 유치 (60억 원 규모)
4-2. 코드퀀텀(CodeQuantum)
- 양자컴퓨터용 알고리즘 최적화 솔루션 개발
- IBM Q, IonQ 플랫폼과의 호환성 확보
- 양자화된 LLM(대규모 언어모델) 연구 진행 중
4-3. 큐비트코리아(Qubit Korea)
- 양자센서 기반 보안 솔루션 개발
- 국방 분야에 시범 공급 계약 체결
- KAIST 기술지주회사에서 스핀오프
4-4. 더퀀텀컴퍼니(The Quantum Company)
- 중소기업 대상 양자 클라우드 사용 서비스 제공
- 양자컴퓨팅 교육 플랫폼 운영, 초·중등 양자교육 콘텐츠 개발
5. 향후 과제와 전망
기술적 과제
- 안정적 큐비트 구현, 양자 오류 수정 기술 확보
- 양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간 통합 생태계 부족
- 전통 컴퓨팅과의 하이브리드 운용 기술 확보 필요
산업적 과제
- 초기 시장 형성 지연: B2B 실증 및 수요기업 발굴 미흡
- 글로벌 경쟁 대비 낮은 기술 독립도
- 스타트업 투자 유입 및 스케일업 인프라 부족
전망
- 2030년까지는 정부 주도 R&D와 시범사업 중심으로 전개될 가능성 높음
- 글로벌 협력(미국, 유럽, 호주 등)과 동맹 네트워크 확보가 관건
- 장기적으로는 국방·금융·통신 등 특정 분야에서부터 실질 적용 확산
결론
대한민국은 2025년 현재,
양자기술을 반도체, 배터리에 이은 국가 전략기술 제3축으로 보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과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 중이다.
국가 차원의 양자기술 로드맵이 구체화되고,
민간의 혁신이 맞물릴 경우 2030년 이후 대한민국은 ‘양자 응용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지속적 투자, 글로벌 협력, 그리고 민간 기술력 축적의 균형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