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 신속통합기획 진행 단계별 점검 리스트: 조합원과 실수요자가 꼭 확인해야 할 절차별 체크포인트

mondemer 2025. 4. 1. 09:38
728x90
반응형
SMALL

 

신속통합기획 단계별 추진 절차와 필수 체크사항(2025)

2025년 서울 신속통합기획 진행 단계별 점검 리스트: 조합원과 실수요자가 꼭 확인해야 할 절차별 체크포인트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은 정비사업의 사업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구역이 동일한 속도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단계별로 반드시 점검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신통기획의 단계별 절차와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신속통합기획이란?

신속통합기획은 서울시가 도시계획과 정비계획을 통합 수립해 주는 공공기획 방식으로,
기존 정비사업의 인허가 기간을 대폭 단축시키기 위해 2021년부터 도입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까지 약 100여 개 구역이 지정되었으며,
다수 구역이 정비계획 수립 또는 도시계획 심의 단계에 진입해 있습니다.


2. 신통기획 단계별 절차 및 주요 체크포인트

1단계: 사전검토 및 대상지 신청

  • 구역 지정 전 민간 제안 또는 서울시 제안 방식 가능
  • 서울시의 정비기본계획 부합 여부 확인

✅ 체크리스트:

  • 노후도 기준 충족 여부 확인 (전체 건축물 중 60% 이상 노후화)
  • 인근 구역과의 정비계획 중복 여부
  • 기존 정비사업 해제 이력 확인 여부
  • 주민협의회 또는 추진위원회 구성 유무

2단계: 신통기획 대상지 선정

  • 서울시에서 후보지 선정 후 공공기획 착수
  • 사전 협의체 구성, 기본구상(안) 수립

✅ 체크리스트:

  • 선정 이후 협의회 구성 여부 확인
  • 서울시 및 구청 담당자 미팅 일정 파악
  • 기본구상안(건축 높이, 용적률 등) 주민 설명회 일정 확인
  • 서울시 제공 가이드라인 수용 여부

3단계: 정비계획 수립 및 주민공람

  • 신통기획 구상안 기반으로 정비계획 수립
  • 공람 및 주민 의견 수렴 단계 진행

✅ 체크리스트:

  • 정비계획 공람 내용 숙지 (도시계획도, 기반시설 포함 여부 등)
  • 주민 의견서 제출 기한 확인
  • 소유자 간 이견 여부 파악
  • 향후 공공기여 및 기부채납 조건 유무 검토

4단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 정비계획 → 구청 제출 → 도시계획위 심의
  • 심의 통과 시, 정비구역 지정 확정

✅ 체크리스트:

  • 구청 및 서울시 협의 완료 여부
  • 심의 일정 및 공개자료 확인
  • 조합설립 준비 여부 점검
  • 심의 통과 이후 사업 일정 시뮬레이션 계획 수립

5단계: 조합설립 및 사업시행인가 준비

  • 주민 동의율 75% 이상 확보 시 조합설립 인가
  • 이후 설계, 시공사 선정, 사업시행인가 절차 진행

✅ 체크리스트:

  • 주민 동의서 확보율 현황 점검
  • 시공사 입찰 계획 수립
  • 설계사무소 계약 여부 확인
  • 사업성 분석(용적률, 예상 분양가, 일반분양 비율) 검토

3. 단계별 주요 리스크 요인과 대응 전략

단계 리스크 요인 대응 전략
대상지 신청 주민 반대, 지정 탈락 사전 동의율 확보, 인근 구역 연계 설명회
정비계획 수립 공공기획안 불만, 이견 발생 조율 조직 구성, 중립적 정보 전달
심의 단계 서류 미비, 서울시 보완요청 사전 검토위원회 활용, 전문가 자문 병행
조합 설립 동의율 부족, 추진위원회 분쟁 중립적 리더십 확보, 동의서 DB 정리
사업시행인가 사업성 부족, 시공사 미정 시공사 컨설팅, 금융기관 연계 필요

4. 2025년 신통기획 제도 변화 요약

  • 서울시는 2025년부터 정비계획 수립 단계를 표준화하고,
    주민 참여형 설명회 및 공개자료 시스템을 확대 중입니다.
  • 또한, 공공기여 항목(공원, 도로 등)에 대한 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여
    사업 혼선을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결론

신속통합기획은 표면적으로는 “빠른 정비사업”을 가능케 하지만,
실제로는 각 단계별 주민 동의율, 계획 수립 정확성, 구청과의 협조 체계 등이
사업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025년 현재는 단계별 표준 절차가 정립되었고, 서울시의 지원 체계도 강화되었지만
여전히 각 구역별 사전 준비와 점검 수준에 따라 사업 속도와 성패가 갈리는 구조입니다.

각 단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적기에 대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신통기획의 핵심 전략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