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기준 상장된 파이(Pi) 코인의 오피셜 로드맵 분석
Pi Network는 2019년부터 시작된 스마트폰 채굴 프로젝트로, 수많은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며 주목을 받아온 암호화폐입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일부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실제 유통이 가능한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Pi Network의 공식 로드맵 발표 내용, 상장 거래소 현황,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 정리하고, 투자자 입장에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인사이트를 전달드립니다.
Pi Network 로드맵: 3단계 구분
Pi Network의 개발사는 프로젝트 시작 초기부터 다음과 같은 3단계 로드맵을 제시해 왔습니다.
1단계: 사용자 확보 및 테스트넷 (2019~2020)
- 모바일 채굴 기능 최초 도입
- 커뮤니티 기반 성장 전략
- 사용자 보안서클 및 초대 코드 기반 구조 도입
2단계: 테스트넷 및 생태계 구축 (2021~2022)
- Pi Testnet 가동
- Pi Browser 출시 및 dApp 개발 테스트
- 개발자 커뮤니티 모집
3단계: 메인넷 전환 및 공개 유통 (2022 말~2025)
- 2021년 말, 비공개 메인넷(Closed Mainnet) 시작
- KYC 인증 사용자부터 지갑 이전 허용
- 2023~2025년, 단계별 Open Mainnet 전환
- 2025년, 일부 거래소에서 Pi 메인넷 코인 상장 및 유통 개시
2025년 4월 기준: 상장된 거래소 현황
공식 메인넷 코인은 2025년 3월 이후부터 Pi Network의 자체 승인을 거친 일부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기존 IOU(선물 계약 형식) 거래와는 다른, 실제 입출금 가능한 코인 거래를 의미합니다.
상장 거래소 예시 (2025년 4월 기준)
- HTX (구 Huobi)
- XT.com
- BitMart
- CoinW
- SuperEx
주의사항: 일부 거래소는 아직 IOU 형식의 유사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메인넷 지원 여부’를 확인 후 거래해야 합니다.
오피셜 로드맵에서 제시된 향후 계획
Pi Network 개발진은 2025년 들어 다음과 같은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 Open Mainnet 전면 개방 예정 시점: 2025년 하반기~2026년 초
- 생태계 디앱(dApp) 공식 지원 확대: Pi Browser 기반 서비스 등록 가능
- Pi Wallet-외부 블록체인 브릿지 검토 중: 이더리움, BNB 체인과 연동 가능성
- 거래소 추가 상장 예정: 미국, 일본, 한국 거래소 협의 진행 중
이러한 계획은 모두 공식 Pi Network 블로그 및 개발자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유되고 있으며, 일정은 기술 검토와 파트너 협약 여부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주의할 점
파이코인의 잠재력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소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KYC 인증 사용자만 실거래 가능: 아직 전체 사용자에게 출금 기능이 열리지 않음
- 중앙화된 구조에 대한 지적 여전: 완전한 탈중앙화 아님
- 유동성 부족에 따른 급등락 가능성
- 상장 거래소의 실질적인 유효성 판단 필요
결론: 파이코인의 미래는 로드맵 이행에 달려 있다
2025년 기준 Pi Network는 상장을 통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Open Mainnet 확대와 dApp 생태계 구축이라는 다음 단계로 향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조심스러운 시기지만, 로드맵 이행 여부에 따라 정식 암호화폐 생태계의 일원이 될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투자자라면 공식 커뮤니티 채널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프로젝트의 로드맵 진척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